복지현장실습 가이드

사회복지 전공 교수님이 말하는 '좋은 실습생'의 조건은?

복지작가 2025. 9. 9. 19:00

 

 

좋은 실습생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현장실습은 단순한 경험을 넘어, 향후 진로와 전문성을 키우는 중요한 관문이에요. 그렇다면 현장에서 교수님들이 바라보는 *“좋은 실습생”*은 어떤 조건을 갖춘 학생일까요?

1. 태도가 성실한 실습생

좋은 실습생

사회복지 현장은 작은 약속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하는 곳이에요. 시간 약속을 잘 지키고, 맡은 업무에 책임감 있게 임하는 태도는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교수님들은 실습에서 보여주는 성실함이 졸업 후 현장에서의 신뢰로 이어진다고 강조하시죠.

2. 배우려는 자세가 열려 있는 실습생

“나는 이미 다 안다”는 태도보다는, 모르는 것을 솔직히 인정하고 배우려는 자세가 중요해요. 사회복지는 정답이 하나로 정해지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열린 마음으로 배우고 질문하는 실습생이 성장 속도가 빠릅니다.

3. 관계 맺기에 적극적인 실습생

클라이언트, 동료, 지도자와의 관계 형성은 사회복지사의 핵심 역량이에요. 교수님들은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경청할 줄 아는 실습생을 높게 평가합니다. 현장 실습은 단순히 업무 수행만이 아니라, ‘사람과 관계 맺는 훈련’의 장이기도 하니까요.

4. 자기 성찰이 가능한 실습생

실습일지를 형식적으로 작성하기보다는, 하루 경험 속에서 배운 점과 부족했던 점을 돌아보는 게 중요해요. 교수님들은 스스로 성찰하고 개선하려는 자세가 “전문가로 가는 첫걸음”이라고 말씀하십니다.

5. 윤리적 감수성을 가진 실습생

사회복지 현장은 늘 윤리적 딜레마가 존재해요.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 약자에 대한 존중,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감은 절대 가볍게 여길 수 없는 가치입니다. 교수님들은 작은 부분에서도 윤리적 기준을 지키는 실습생을 ‘진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학생’으로 보십니다.


정리하자면, 교수님이 꼽는 좋은 실습생의 조건은 성실성, 배움의 자세, 관계 형성 능력, 자기 성찰, 윤리 의식이에요.
이 다섯 가지를 실습 때 꾸준히 실천한다면, 현장 지도자뿐 아니라 교수님에게도 “함께 일하고 싶은 학생”으로 기억될 수 있습니다.


관련글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상담일지 잘 쓰는 법...

사회복지 현장실습

사회복지 현장실습,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가 하는 일 전망, 업무...

지역아동센터아동상담

지역아동센터 아동상담 실전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