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책 가이드

2025년 9월, 카카오톡에서 챗GPT 바로 사용! 복지상담 혁신의 시작

복지작가 2025. 9. 7. 11:00

 

카카오톡에서 챗GPT 바로

복지현장에서도 AI 상담을 바로바로! ‘톡만 켜면 GPT가 대답해 줘요’


2025년 9월, 카카오톡 안에서 챗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립니다. 기존에는 별도의 앱이나 웹을 이용해야 했지만, 이제는 톡 대화창 안에서 곧바로 AI와 대화할 수 있게 됩니다. 사회복지사분들과 주민들에게 모두 유용한 이 변화, 복지정보 전달과 현장 상담에 어떤 도움이 될지 함께 알아보세요.


카톡에서 챗GPT, 어떻게 달라지나요?

카톡에서 챗GPT

기존에도 AskUp 같은 별도 채널을 통해 GPT 사용이 가능했지만, 이번에는 다릅니다. 카카오와 OpenAI가 협력해, 카카오톡 채팅 탭 안에서 GPT 기능을 기본 제공하는 방식으로 한층 직관적이고 편리해졌어요.

구분 기존 방식 새롭게 도입될 방식

접근 경로 AskUp 채널 진입 카카오톡 채팅창 내 직접 사용
앱 전환 여부 별도 앱 또는 브라우저 필요 전환 없이 ‘톡’ 안에서 바로 사용
출시 시기 이미 사용 가능 (비공식 채널) 2025년 9월 23일 이후 공식 오픈

누구에게, 어떤 점이 유용할까요?

누구에게, 어떤 점이 유용

  1. 사회복지사에게
    → 복지제도, 지원금 안내 등 실시간 정보 검색에 활용
    → 주민 상담 중 모르는 정보도 ‘즉시’ AI에 물어보고 응답 가능
  2. 주민분들에게
    → “톡만 열면” 상담받는 느낌! 쉽고 직관적인 AI 접근성
    → 긴 대기 없이 빠르게 궁금증 해소
  3. 어르신·디지털 취약계층에게도
    → 앱을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진입장벽 대폭 낮춤

정보 보호는 필수! 상담 시 주의사항 안내

정보 보호는 필수

AI와의 대화는 편리하지만, 민감한 개인정보는 절대 입력하지 않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용할 때는 아래 내용을 함께 전달해 주세요.

  • 이름, 주민번호, 계좌번호 등 민감 정보 입력 금지
  • 건강상태, 가정형편 등 개인별 상담은 직접 방문 또는 전화상담 우선
  • AI는 어디까지나 보조 도구라는 점 강조

복지관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활용 예시

복지관에서 바로 적용

  • 실시간 정보 안내: “노인일자리 신청 언제 해요?”라는 질문에 AI가 최신 일정 안내
  • 톡방 정보 전달: 단체 톡방에 복지정보 카드뉴스를 만들고 AI 요약문과 함께 공유
  • 상담시간 단축: AI와의 1차 질의 이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만 담당자가 응대

공식 오픈 전, 이렇게 준비하세요

공식 오픈 전

준비 항목 설명

GPT 사용법 익히기 ‘AskUp’ 등 기존 GPT 채널로 연습해보기
주민 대상 안내자료 준비 “톡만 열면 AI!” 식의 쉬운 설명 포스터 제작
내부 교육 자료 공유 복지사 내부 공유용 AI활용법 자료 정리
개인 정보 보호 매뉴얼 AI 상담 시 주의사항을 미리 공지 또는 설명

서비스 관련 요약정리

서비스 관련 요약정리

서비스 관련 요약정리

항목 내용

서비스명 카카오톡 챗GPT 연동 기능
오픈 시기 2025년 9월 23일 if(kakao)25 이후 예정
운영사 카카오, OpenAI 협업
주요 기능 톡 대화창 내에서 GPT와 직접 대화
사용 장소 복지관, 상담소, 가정 등 카카오톡 가능한 모든 환경

마무리 코멘트

마무리 코멘트

기술은 결국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하죠.
카카오톡과 챗GPT의 만남은 복지상담의 혁신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어요.

이제는 정보가 멀리 있지 않아요.
주민 여러분의 손 안에서,
사회복지사분들의 일상 업무 속에서
‘톡’만 켜면 함께하는 AI 상담 시대, 곧 시작됩니다!

지금부터 함께 준비해 보아요. 😊

관련글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상담일지 잘 쓰는 법...

사회복지 현장실습

사회복지 현장실습,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가 하는 일 전망, 업무...

지역아동센터아동상담

지역아동센터 아동상담 실전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