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현장실습 가이드

실습생을 위한 아동관찰·개입·평가 대화 스크립트 모음

복지작가 2025. 10. 10. 20:00

 

실습생을 위한 아동관찰

실제 상황을 연습하며 배우는 실습생 대화 예시


실습생을 위한 아동관찰

지역아동센터나 복지기관 실습에서 중요한 부분은 아이들을 관찰하고, 필요한 순간에 개입하며, 활동 후 평가까지 이어가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막상 실습생 입장에서는 어떤 말로 시작하고 이어가야 할지 고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상황별로 활용할 수 있는 ‘관찰 → 개입 → 평가’ 대화 스크립트 예시를 모아봤습니다.


1. 학습활동 관찰 상황

관찰:
"지민이가 집중하지 못하고 연필을 자꾸 내려놓는 모습이 보였어요."

개입:
"지민아, 이 부분을 같이 해볼까? 선생님이 첫 줄은 도와줄게."

평가:
"지민이가 교사의 도움을 받자 다시 문제에 참여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작은 격려가 학습 지속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2. 놀이활동 관찰 상황

관찰:
"아이들이 블록을 쌓으며 서로 경쟁하듯 빠르게 구조물을 만들고 있었어요."

개입:
"와, 정말 멋지다! 근데 서로 힘을 합치면 더 큰 성이 완성될 수도 있겠지?"

평가:
"개입 후 아이들이 경쟁보다 협동을 택해 함께 구조물을 완성했습니다. 협동적 놀이로 전환이 가능함을 확인했습니다."


3. 갈등 상황 관찰

관찰:
"두 아이가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다투는 장면이 보였습니다."

개입:
"이 장난감은 하나뿐이라서 두 사람이 같이 쓰기는 어려워. 차례대로 쓰는 방법을 같이 정해볼까?"

평가:
"아이들이 차례를 정하고 기다리는 연습을 했습니다. 즉각적인 감정 충돌이 완화되었고, 규칙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나타났습니다."


4. 미술활동 관찰

관찰:
"아이들이 색칠하기 활동에서 서로 다른 색을 고르며 이야기하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개입:
"각자 좋아하는 색을 골랐구나. 친구가 고른 색도 멋지지 않니? 다 같이 작품을 모아서 전시해 보자."

평가:
"다양성을 인정하고 서로의 선택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자기표현과 타인의 표현 존중이 동시에 나타났습니다."


5. 야외활동 관찰

관찰:
"아이들이 줄을 서지 않고 흩어져 걸어가는 장면이 관찰되었습니다."

개입:
"우리 다 같이 손잡고 줄 맞춰 걸어볼까? 그러면 더 안전할 거야."

평가:
"안전 지도가 이루어진 후 아이들이 줄을 지어 이동했습니다. 안전수칙 준수가 강화되었습니다."


6. 집단 활동 평가 상황

관찰:
"활동 후 정리 시간에 일부 아이들이 소극적으로 움직였습니다."

개입:
"정리도 놀이처럼 해볼까? 누가 먼저 블록을 상자에 넣을지 시합해 보자!"

평가:
"게임 요소를 넣자 아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긍정적인 동기부여가 효과적임을 확인했습니다."


정리

관찰은 객관적인 사실, 개입은 상황을 해결하거나 분위기를 전환하는 언어, 평가에서는 개입 이후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실습생은 이 흐름을 꾸준히 연습하면서 아이들의 행동 이해와 지도 역량을 함께 키워갈 수 있습니다.


관련글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상담일지 잘 쓰는 법...

사회복지 현장실습

사회복지 현장실습,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가 하는 일 전망, 업무...

지역아동센터아동상담

지역아동센터 아동상담 실전 예시...